![](https://blog.kakaocdn.net/dn/bUxzeU/btskSoG4cUw/mfWkaTGivR8gam88fAs1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GdXDu/btskTJcMtTp/NHBsHpSmVfJtsxy2hHtp2K/img.jpg)
영아기 초기 보호자용 설명서
1. 모유 수유
모유는 아이에게 가장 완전한 식품이며, 아이의 면역을 강화하고, 각종 뇌신경 발달에 유리하며 만성 질환을 예방하고, 비만을 줄이므로 완전모유수유는 적어도 생후 6개월까지 추천되고 이유기 보충식을 주면서 모유수유는 생후 24개월까지도 권장합니다.
모유양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는 밤중에도 수유, 아이가 원할 때마다 수유, 노리개 젖꼭지나 분유병 사용 피합니다.
유선염, 유방울혈 등이 발생하였을 때 모유수유를 더 열심히 하고, 황달이 있을 때 무조건 모유 수유를 중단하지 않아야 합니다.
2.수면
신생아는 밤낮의 구분없이 하루 16~-20시간 잠을 자는데 배고픔에따라 깨고 먹고 잡니다.
낮에는 일상생활에 노출시키고 밤에는 어둡게 하고 덜 놀아주면서 밤낮의 구분은 3개월경에 완성되고, 생후 6주부터는 수면 습관을 만들도록 일정한 수면의례를 행하며 졸리지만 아직 깨어있는 상태로 자리에 눕혀 스스로 잠들게 하며 부모와 따로 아이 잠자리를 마련합니다.
영아돌연사증후군를 예방하기 위하여 모유수유를 하며 안전한 수면환경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항상(낮잠을 잘 때에라도) 등을 대고 눕혀서 재우고, 두툼한 이불이나 폭신한 베개, 매트리스를 사용하지 말고, 단단하며 편평한 매트리스를 사용합니다. 이불을 덮지 않거나 이불이 아이의얼굴을 가리지 않도록 팔 아래로 덮어 줍니다. 부드러운 장난감등은 아이의 잠자리에서 치웁니다
- 아이를 생후 2개월 전에는 깨어 있을 때만 싸주고 2개월 이후 속싸개로 싸는 것을 금지합니다
- 가벼운 옷을 입히고, 실내 온도는 성인에게 편한 정도로 유지합니다.
- 바운서나 카시트에 앉혀서 재우면 산소가 떨어지므로 잠들면 바로 잠자리로 눕혀야 합니다.
출산 전과 출산 후 흡연과 술을 피해야 합니다.
사두증(뒷머리가 편평해지는 것)이 염려 될 경우 2-3개월부터 깨어 있고 관찰될 때 '배밀이 놀이'를 하여 사두증을 예방합니다.
간접흡연은 아이에게 미치는 위해성이 많아 금연 환경을 유도합니다.
아이가 담배연기에 노출되면영아돌연사증후군 발생위험이 증가합니다.
중이염이나 호흡기 질환에 잘 감염됩니다.
천식, 아토피 등 알레르기질환 발생이 증가합니다
백혈병 등의 암, 비만, 동맥경회증 등의 발생이 증가합니다.
담배연기에 일찍 노출될수록 아이가 흡연을 일찍 시작하고 끊기도더 어렵습니다
집 밖에서만 흡연을 해도 담배 연기가 옷이나 피부에 묻어 상당한 담배연기에 노출되어 아이에게 니코틴이 차이 없이 검출됩니다
3. 안전사고 예방
자동차 안전(카시트 사용)
영아용 카시트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영아용 카시트의 등받이 각도는 45도가 가장 안전합니다.
10kg, 1세 미만에는 반드시 뒷좌석에 뒤보기로 설치(앞좌석에는 카시트 설치 금지하며, 뒤보기 설치 가능 연령/체중이 늦은 것을 선택(보통 최대 20kg)합니다
앞보기 카시트는 반드시 하네스 벨트가 달린 것을 구매하며(1세-4세, 9-18kg, 65-100cm), 아이의 어깨가 카시트 안전띠 의 위쪽 홈보다 높게 되거나. 아이의 귀가 카시트 꼭대기보다 위에 오게 되면 부스터 좌석을 사용하고(4세-10세, 15-36kg, 135cm). 안전띠 허리띠가 골반 위를 지나고 어깨띠가 어깨를 지나면 성인처럼 안전띠만 사용합니다.(8-12세, 35 kg이상 140cm)
추락 예방
- 낙상은 2세 이하영 유아기의 가장 흔한 사고 기전으로, 고개를 가누지 못하는 아이를 업지 않도록 해야 하며, 높은 곳에 아이 를 혼자 두면 안 됩니다.
- 다른 행동을 할 때에는 급하더라도 아이를 난간 등의 안전장치가 있는 침대 등의 안전한 장소에 내려놓은 후 행동하도록 하십시오
화상 예방
화상 시 신속히 식혀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가 데었다면 즉시 찬 수돗물로 데인 부위를 15분 이상 또는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식혀줍니다
반드시 목욕물의 온도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6개월 이하의 아이를 전기장판이나 온열, 온수 매트 위에 재우면 체온에 유사한 37 C정도의 온도에서도 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4. 신생아 청각 선별검사의 중요성
선천성 양촉 고도 난청은 조기진단 및 조기재활을 시행할 경우 정상에 가끼운 언어, 청각발달을 기대할 수 있는 극복 기능한 질환이므로 난청의 조기진단은 가장 중요한 첫걸음이 됩니다.
모든 신생아는 생후 1개월 이내 청각선별검사를 받고, 난청이 의심되는 경우 생후 3개월 이내 난청 확진검사를 받아야 하며, 난청으로 진단받은 경우에는 생후 6개월 이내 청각재활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고합니다.
5.시각
두 눈의 모양이 다르거나 크기가 다르게 느껴지는 경우, 각막(검은 동자)에 혼탁이 있는 경우는 반드시 안과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망막모세포종, 선천백내장, 선천녹내장 선천망막질환과 같이 질환을 가진 사람이 가족 중에 있는 경우에는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꼭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Global Daily Life : 글로벌 데일리 일상 > 외국인 남편과 살기 : 결혼육아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작용 정보 알고계신가요 (0) | 2023.06.23 |
---|---|
우는 아이 달래기 5가지 방법 (0) | 2023.06.22 |
전기요금 줄이고 캐시백 받자 한전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 (1) | 2023.06.20 |
Happy Father's day 아버지의 날 (1) | 2023.06.20 |
더 오담 고구마치즈돈까스 후기 (0) | 2023.06.18 |